MP 머티리얼스(MP Materials, MP) — 미국 희토류 자립 시대의 출발점

MP 머티리얼스의 2025년 3분기 실적 분석, 산업 리스크와 미국 정부의 정책 대응을 한눈에 정리한 분석글입니다.

▪️ 1. 3분기 실적 분석

2025년 3분기, MP 머티리얼스(MP)는 글로벌 희토류 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생산성과 실적 흐름을 유지했습니다. 캘리포니아 마운틴 패스(Mountain Pass) 광산을 기반으로 한 정제·자석 일체형 공급망이 단계적으로 가동되며 사업 구조 전환의 속도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 매출액: 약 1억 달러 내외 — 전년 대비 소폭 감소. 정제시설 가동률 상승과 생산 효율 개선으로 시장 예상치에 부합.
  • 순이익: 생산설비 확충과 공정 전환 비용 증가로 일시적 둔화. 장기적 관점의 투자로 해석.
  • 생산량: NdPr(네오디뮴·프라세오디뮴) 생산 증가 — 전기차·방산용 자석 제조 기반 확립.
  • 가공·제조 전환: 2025년 하반기부터 전기차 모터용 자석 생산라인 본격 가동 — 고부가가치 전환 시작.

가이던스 요약

  • 2026년까지 자석 생산량 2배 확대
  • 미국 내 정제 능력 100% 자립
  • 지속가능 공정 및 에너지 효율형 생산라인 확대
  • 동맹국과의 기술 협력 및 전략 비축 확대

▪️ 2. 희토류 생산의 문제점

희토류는 첨단 산업의 핵심 소재이지만 생산 과정에는 환경·사회적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 ▪️ 환경오염: 정제 시 강산 사용·방사성 폐수 발생 우려
  • ▪️ 지역 피해: 토양·지하수 오염으로 인한 주민 건강 문제
  • ▪️ 경제성 한계: 회수·재활용 비용이 높아 상용화 제한
  • ▪️ 공급 리스크: 정제의 대부분을 중국이 점유 — 지정학적 불안정성

▪️ 3. 미국 정부의 해결 방향

미국은 희토류를 국가 안보첨단산업 전략의 핵심 자원으로 보고, 공급망 자립을 위한 다층적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보조금 및 세제 혜택 확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국방생산법(DPA)」을 통해 희토류 정제·자석 제조시설에 직접 보조금 및 세액공제를 제공하고, 국방 관련 소재에 대한 장기 구매계약 제도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 동맹국 협력 강화

미국은 ‘Friend-shoring(우호국 중심 공급망)’ 전략 하에 희토류 공급망을 다변화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 호주 Lynas Rare Earths: 미 국방부(DOD)가 텍사스 정제시설 건설비 일부를 보조.
  • 캐나다 Vital Metals: 미 에너지부(DOE)와의 공급 계약 체결로 북미 정광 공급 안정화.
  • 일본 JOGMEC: MP 머티리얼스와 기술 교류·생산 협력 강화.
  • 말레이시아 협력: 2025년 10월 체결된 MoU를 통해 말레이시아는 약 1,600만 톤 규모의 매장량을 바탕으로 채굴·정제 단계부터 미국 기업과 협력을 확대, 원광 수출 중심에서 가공·제조 중심 산업구조로 전환 중입니다.

⚫ 재활용 및 순환형 공급망

미국 에너지부(DOE)는 사용 후 모터·배터리에서 희토류를 회수하는 순환형 공급체계(Circular Economy) 구축에 착수했습니다. 2025년부터 약 1억 달러 규모의 기술개발 프로젝트가 본격 추진됩니다.

▪️ 4. 미국의 정책 방향과 산업적 의미

미국의 희토류 정책은 단순한 자원 확보를 넘어 다음 세 가지를 핵심 목표로 합니다.

  1. 공급망 안보 강화
  2. 친환경 제조 기반 구축
  3. 중국 의존 탈피

MP 머티리얼스는 이러한 구조 속에서 미국 정부의 전략적 공급망 내재화의 중심축으로 평가됩니다.

정부는 2026년까지 아래 정책을 통해 미국 내 완전한 희토류 자급 구조 확립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민간투자 매칭 지원
  • 세제 인센티브 확대
  • 기술개발 보조금 지급

⚫ 정리

MP 머티리얼스의 2025년 3분기 실적은 단기적으로 비용 부담이 있었지만, 미국 내 희토류 자급 체계를 완성해 나가는 전환점의 분기로 평가됩니다. 말레이시아 등 동맹국과의 협력이 본격화되면서 MP는 미국의 전략적 희토류 공급망 핵심 기업으로 자리잡을 전망입니다.

출처: MP Materials Investor Relations, Reuters, Barron’s, Nasdaq, U.S. Department of Energy (DOE), Bloomberg (2025.11 기준)
※본 글은 공시자료 및 기업 발표를 기반으로 작성된 분석 콘텐츠로, 특정 종목의 매수·매도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의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 향후 실제 결과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